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현대 싼타페 주유구 위치, 중형 SUV 산타페 정보, 주유구 여는 법

by 하니곰 조련사 2024. 8. 4.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현대 싼타페 차량에 대한 정보를 가져왔습니다. 모르면 당황스러운 정보, 바로 산타페 주유구 위치인데요. 현대 싼타페 차량은 국산 중형 SUV 6위인 만큼 많은 분들이 처음에 주유구를 찾지 못해 당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주유구 위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현대 싼타페 정보

현대 싼타페 정보

현대 싼타페 신형 2024년형 정보에 대해 먼저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료는 가솔린이며 연비는 리터 당 복합 9.7에서 11km까지 나옵니다. (신호등이 많은 도심과 고속도로에서 연비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연비가 좋은 편에 속하지는 않지만 준중형 SUV 중 연비는 5위 정도이며 싼타페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는 연비가 잘 나온다고 합니다. 출력은 281hp엔진, 토크 43kg.m 엔진, 배기 2,497cc, 엔진 I4(4 기통) 싱글터보, 차량의 크기는 전장 4,830mm, 전고 1,720~1,780mm, 전폭 1,900mm, 축거 2,815mm입니다. 

 

현대자동차의 싼타페는 SUV(스포츠 유틸리티 차량)으로 넓은 공간과 다양한 기능, 예쁜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먼저 외관은 세련되고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사랑 받고 있는데요. 곳곳에 "H" 패턴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헤드램프와 테일램프 역시 H패턴입니다. 이로 인해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게 싼타페만의 독보적인 디자인임을 부정할 수는 없죠. 내부 역시 넓고 편안하게 설계가 되어 있어서 여행을 많이 가는 분들에게 더욱 적합합니다. 특히 캠핑카로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대 싼타페 장단점

먼저 장점은 넓은 실내 공간으로 여러 사람과 함께 캠핑이나 여행 시 좋다는 평이 많습니다. 패밀리카로 인기가 많죠. 또한 여러 안전 기능이 탑재 되어 있어서 안심하고 운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행 보조 시스템이 유용하다고 합니다. 주행 성능 역시 강력한 엔진과 좋은 성능으로 고속도로에서도 편안한 운전이 가능하며 승차감 역시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네요. 앞서 말씀드렸듯 디자인은 호불호가 있으나 각진 형태의 외관 디자인이 많은 칭찬을 받고 있는 편입니다. 또한 실내 디자인은 압도적으로 "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단점은 연비입니다. 고속 주행 시 연비가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시내주행에서는 연비가 안 나오죠. 옵션을 추가 시 가격적인 면에서 부담을 준다는 의견도 많이 있습니다. 깡통 차량으로 구매 시 가성비가 압도적이기는 하나 트램이 올라갈 수록 가격이 부담된다는 것이죠. 가속불량, 페달 먹통 등 신형 싼타페 무상 수리 때문에 말이 많았습니다. 

 

싼타페 주유구 여는 법

이제 본격적으로 현대 싼타페 주유구 버튼 위치, 싼타페 주유구 여는 법에 대하여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일단 현대 싼타페 차량의 주유구 위치는 운전석 쪽, 즉 차량의 좌측입니다.

주유구 위치 : 왼쪽 (운전석 쪽)
여는 방법 : 터치

싼타페-주유구-위치현대-산타페-주유구-위치

 

현대-싼타페-주유구-위치현대-싼타페-디자인

 

구형, 신형 싼타페 모두 운전석과 동일한 쪽에 주유구가 있습니다. 따라서 주유소 방문 시 왼쪽에 주유 기계를 두고 차량을 정차하면 쉽게 주유가 가능합니다. 주유구 버튼은 따로 없으며 주유구를 손으로 터치하면 열리는 방식입니다. 주의해야 될 점은 차량의 문을 잠그게 되면 주유구 역시 잠겨서 열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문 열림(도어 오픈) 후 네모난 주유구를 터치하거나 누르면 주유구가 오픈됩니다. 

 

오늘은 국산 SUV 중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고 있는 현대자동차 싼타페 차량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 운전을 시작하면 다양한 차량의 기능을 익히게 되지만 주유구에 대한 정보는 자칫 모르고 넘어갈 수 있는데요. 이는 주유소에 방문 시 당황스러움을 야기하게 됩니다. 미리 주유구 여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터득하고 주유소에 방문하면 보다 빠르게 기름을 채울 수 있을 것입니다. 모두들 안전 운전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