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초복, 중복, 말복 날짜, 의미, 음식

by 하니곰 조련사 2024. 4. 25.
반응형

여름철, 무더위에 지친 몸과 마음을 위로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음식입니다. 복날은 한국에서 가장 더운 시기로 초복, 중복, 말복이 있습니다. 이 날에는 보양식을 섭취하며 건강을 돌보는 문화가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2024년 초복, 중복, 말복 날짜와 의미, 왜 복날에 삼계탕을 먹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더위

 2024년 복날, 2025년 복날

날짜와 의미

2024년 날짜

  • 초복 : 7월 11일 목요일
  • 중복 : 7월 21일 일요일
  • 말복 : 8월 10일 금요일

2025년 날짜

  • 초복 : 7월 20일 일요일
  • 중복 : 7월 30일 수요일
  • 말복 : 8월 9일 토요일

의미

삼복은 일년 중 가장 더위가 심한 날입니다. 초복과 중복, 말복을 합쳐서 삼복이라고 부르는데요. 하지로부터 셋째 경일을 초복, 넷째 경일을 중복, 입추 후 첫째 경일을 말복이라고 합니다. 보통 열흘 간격으로 오기 때문에 초복에서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리지만, 해에 따라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합니다. 이때 20일 만에 삼복이 드는 경우에는 매복,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는 경우에는 월복이라고도 합니다. 엎드릴 복(伏)이라는 한자는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있는 형상을 나타냅니다. 이는 찜통 더위에 사람들이 지쳐 엎드린 것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음식

삼계탕

복날을 대표하는 음식은 단연 삼계탕입니다. 삼계탕은 닭고기와 인삼, 대추, 마늘, 찹쌀 등을 함께 끓여 만든 음식입니다. 삼복에 먹으면 보신이 되고 원기를 돕는다고 하여 복날에는 몸보신을 하기 위해 삼계탕을 많이 먹습니다. 여름철에는 무더위로 인하여 식욕이 떨어지고 체력이 약해지기 쉬운 계절입니다. 삼계탕에 들어가는 여러 재료는 더위로 지친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보충해주고 활력을 줍니다. 

민어

삼계탕 외에도 민어가 유명합니다. 예로부터 임금님께 진상하던 생선으로 맛과 영양성이 뛰어납니다. 여름철에 먹으면 좋은 생선으로 알려져 있어 6월부터 8월이 제철입니다. 민어 요리는 전라남도 목포가 유명합니다. 회, 탕, 전, 찜, 구이 등으로 먹으며 보통 민어회로 많이 먹습니다. 비린내가 적고 식감이 부드럽기 때문입니다. 가격은 

장어

장어 역시 몸보신 음식으로 유명합니다. 장어 소금구이, 양념구이가 유명하며 여름에 하모 샤브샤브로도 많이 즐깁니다. 가격은 다소 비싸지만 기력회복에 좋고 닭은 평소에도 많이 먹기 때문에 복날에 장어를 찾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복날 밀키트

요즘은 밀키트 제품이 다양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복날을 앞두고 보양식 밀키트가 주목을 받는데요. 비비고, 마니커, 곰곰, 피코크, 조선호텔, 오뚜기, 양반 등의 제품이 있습니다. 

 

무더위를 이기는 팁

음식으로 기력을 보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여름 무더위를 이겨내기 위한 방법을 실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먼저 수분 섭취는 필수입니다. 여름에는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체내 수분이 손실되므로 하루 2L 이상의 물을 마시며 부족한 수분을 보충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 대신 수박, 오이 등을 섭취하는 것도 좋습니다. 옷차림은 통풍이 잘 되며 가벼운 소재의 옷을 착용하는 것이 체온을 낮출 수 있습니다. 에어컨이나 선풍기 등의 냉방시설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사용하게 되면 전기세가 많이 나온다는 점 잊지마세요. 복날, 맛있는 음식 먹으러 가기 전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여름철 자외선이 강하기 때문에 자외선을 차단하는 썬크림을 발라 피부를 보호하세요. 

 

초복, 중복, 말복 복날은 단순히 더위를 피하는 시기를 넘어, 우리 몸을 돌보고 건강을 지키기 위한 전통적인 지혜가 담긴 날입니다. 삼계탕과 같은 보양식을 통해 여름철 건강 관리를 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입니다. 다가오는 올 여름, 복날의 의미를 되새기며 건강하게 무더위를 이겨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도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